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21년 2월 정리 2021년 2월 정리 2월 2일 학점은행제 교육기관 면접 2월 4일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 면접 1월 15일 ~ 2월 14일 프로그래밍언어 Part1 이수(15시간) 1월 15일 ~ 2월 14일 프로그래밍언어 Part2 이수(15시간) 2월 14일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위원 홍보분과 위원 신청 2월 17일 직업전문학교 교강사 면접 2월 18일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위원 홍보분과 위원 선정 2월 20일 경영지도사 양성과정 설명회 참석 2월 21일 직업학원 행정담당 면접 2월 23일 여의도 전산센터 상주근무 면접 2월 23일 정보통신중급기술자 면접 2월 24일 서울시 시민참여옴부즈면 공공사업 입회 활동 2월 25일 LG전자 B2B 전문업체 면접 2월 26일 IT솔루션 영업 면접 2월 28일 마음치유 명상&호흡(1.. 더보기
2021년 1월 정리 1월 13일 서울시 인재개발원 정보통신교육 보조강사 탈락 1월 15일 ~ 2월 14일 프로그래밍언어 Part1 수강(15시간) 1월 15일 ~ 2월 14일 프로그래밍언어 Part2 수강(15시간) 1월 16일 자율주행차 중심의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기술 이해 기술연수 수료(6시간) 1월 18일 서울시 시민참여예산위원 신청 1월 23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술연수 수료(6시간) 1월 25일 학점은행제 원격평생교육원 면접 1월 29일 ICT정보보안 훈련교사 면접 1월 31일 마음치유 명상&호흡(9개월) 1월 31일 디에스 튜브(DS TUBE) 구독자 124명 더보기
[NCS] 30.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활용 전략 [NCS] 30.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활용 전략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구성 이해 - 핵심요약 -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지도서는 학교나 직장에서 직장인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의사소통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지침이다. -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지도서는 크게 의사소통능력 지도지침과 의사소통능력이지도 실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교수자가 지도서를 활용하는 방법과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용 워크북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의사소통능력 학습 활동 선정 및 활용 방안 - 각각의 모듈은 기본 학습활동과 심화 학습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습활동에서는 학습자들이 주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사례 분석 및 워크시트 작성, 그리고 토의가 이러어진다. 의사소통능력 학습 사례 활용 - 효과적인.. 더보기
[NCS] 29. 의사소통능력 지도를 위한 이론적 토대 - 핵심요약 [NCS] 29. 의사소통능력 지도를 위한 이론적 토대 - 핵심요약 의사소통능력 영역 - 의사소통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직장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인,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 등이 있다. 문서이해능력 영역 - 문서이해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문서이해능력이란? 문서의 종류, 문서이해의 구체적인 절차 등이 있다. 문서작성능력 영역 - 문서작성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직장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인,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 등이 있다. 경청능력 영역 - 경청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경청이란? 올바른 경청을 방해하는 10가지 요인, 효과적인 경청 방법, 대화를 통한 경청 훈련 등이 있다. 의사표.. 더보기
[NCS] 28. 의사소통능력 지도 계획수립 - 핵심요약 [NCS] 28. 의사소통능력 지도 계획수립 - 핵심요약 의사소통능력 지도 의의 및 필요성 - 의사소통능력은 직업인으로서 자신의 능력, 적성, 특성 등을 이해하고 목표 성취를 위해 스스로를 관리하며 개발해 나가는 능력임 - 의사소통능력 지도를 위해서 지식의 이해와 고차원적 사고력의 신장, 실생활과 관련된 교수학습, 수준별 지도,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이 이루어져야 함 학습목표 설정 및 교수계획서 작성 - 학습목표는 해당 학습모듈에서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성취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측정가능하고 관찰 가능하게 진술해야 함 - 교수계획서는 교수목적부터 학습자의 특성, 학습목표 설정, 다양한 수업방법, 평가계획 등 교수설계 순서에 따라서 작성되어야 함 의사소통능력 학습 평가 - 평가의 목적과 교육 내용.. 더보기
[NCS] 27.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활용 전략 - 핵심요약 [NCS] 27.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활용 전략 - 핵심요약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 구성 이해 -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는 학교나 직장에서 직장인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수리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지침임 -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는 크게 수리능력 지도 지침과 수리능력의 지도 실제로 구분할 수 있음 - 교수자가 지도서를 활용하는 방법과 실제 수업에서 학습자용 워크북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있음 수리능력 학습 활동 선정 및 활용 방안 - 수리능력 교수자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활동은 대부분 6단계에 걸쳐서 수업이 진행됨 - 학습 활동 제시, 사례 제시, 워크시트 작성, 토의 및 피드백, 교육내용 지도, 추가 교수 자료 제시의 순으로 이루어짐 - 각각의 모듈은 기본 학습 활동.. 더보기
[NCS] 26. 수리능력 지도를 위한 이론적 토대 - 핵심요약 [NCS] 26. 수리능력 지도를 위한 이론적 토대 - 핵심요약 수리능력 영역 - 수리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수리와 수리능력, 수리능력의 가치, 수리능력 장애요인 등이 있음 기초연산능력 영역 - 기초연산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사칙연산의 정이와 법칙 등이 있음 기초통계능력 영역 - 기초통계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통계의 정의 및 기능, 통계의 본질, 통계의 기본 개념 등이 있음 도표분석능력 영역 - 도표분석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해야 할 내용은 도표의 정의, 도표의 종류, 도표의 종류별 활용 등이 있음 도표작성능력 영역 - 도표작성능력을 지도하기 위해 이해햐 할 내용은 도표작성의 의의 및 목적, 도표작성 시 주의사항, 도표작성 절차 등이 있음 더보기
[NCS] 25. 수리능력 지도 계획수립 - 핵심요약 [NCS] 25. 수리능력 지도 계획수립 - 핵심요약 수리능력 지도의 의의 및 필요성 - 수리능력은 직장생활에서 요구되는 사칙연산과 기초적인 통계를 이해하고, 도표 또는 자료(데이터)를 정리, 요약하여 의미를 파악하거나 도표를 이용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객관적인 판단근거로 제시하는 능력임 - 수리능력 지도는 고차원적 사고력의 신장, 실생활과 관련된 교수학습, 수준별 지도,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 등을 고려하면서 진행되어야 함 학습목표 설정 및 교수계획서 작성 - 학습목표는 해당 학습모듈에서 학습자가 최종적으로 성취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측정가능하고 관찰 가능하게 진술해야 함 - 교수계획서는 교수목적부터 학습자의 특성, 학습목표 설정, 다양한 수업방법, 평가계획 등 교수설계 순서에 따라서.. 더보기